전북도가 공직자 부패의 뿌리를 뽑기 위한 고강도 공직 감찰에 나선다.
도는 오는 7월부터 본청과 산하기관, 각 시·군, 공사·공단 등에 대한 대대적 감찰활동을 벌여 비리 공무원에 대해서는 강력한 신분상의 조처를 내릴 계획이라고 27일 밝혔다.
이를 위해 도는 도청과 각 시·군에 감찰반을 편성해 공직자들의 이권개입, 토착비리, 건설현장의 관행·고질적 비리 척결에 나선다.
구체적으로 부적절한 식사나 술대접, 음주운전, 사행성 업체 출입, 금품 수수, 인허가 지연, 민원부당처리 등을 집중적으로 단속할 예정이다. 또 지각과 무단결근, 근무지 무단이탈 등 공직기강 해이를 포함해 공직자 부패에 대해 전방위적으로 조사키로 했다.
도는 이 과정에서 적발된 공직자에 대해서는 엄중히 문책하고, 중대한 사안에 대해서는 관련 당국에 고발할 계획이다. 여기에 공무원의 불필요한 워크숍과 외유성 출장의 자제를 주문하는 한편, 전 공무원들이 청렴서약에 서명하도록 지도키로 했다.
반면 열악한 여건에서 성실히 직무를 수행하고 대민봉사에 노력하는 공무원을 발굴, 정부포상 추진 등 사기진작 방안도 모색키로 했다.
이처럼 도가 대대적인 공직 감찰에 나선 것은 국토해양부의 '연찬회 사건' 등 잇따른 공직자 비리가 터지면서 헤이해진 공직기강을 잡을 필요성이 높아졌기 때문이다.
도는 27일 시·군 감사담당관 회의를 열어 공무원의 부정·부패 행위 등 공직비리를 척결하기 위해 보다 적극적으로 대응해나갈 것을 당부했다.
도 김수태 감사관은 "이번 공직 감찰을 계기로 도내 공직자 비리를 완전히 척결하고, 바로 설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지난해 불법행위 등으로 파면·해임 등의 징계를 받은 도내 공무원은 223명으로, 전국 2960명의 7.53%를 차지했다. 이는 전국 16개 시·도 중 7번째로 많은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