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귀남 법무부장관이 전주교도소 이전 문제와 관련해 “이전의 필요성에 공감하며 전북의 이익에 부합되게 교도소를 조속히 옮기겠다”고 밝혔다. 이 장관은 지난 24일 전주교도소를 방문, 현황보고를 받은 자리에서 “전주시의 이전 방침에는 공감하고 있다”며 “방법에 있어서는 이견이 있을 수는 있겠지만, 부지만 선정되면 교도소 이전에는 문제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장관은 “전주교도소에 오면서 주민들이 내 건 플래카드를 보며 전주시민들이 교도소이전을 얼마나 원하고 있는지 느낄 수 있었다”며 “전주시 남부권과 전라북도의 발전에 부합되도록 법무부도 교도소 이전 계획에 적극 협조할 것이다”고 덧붙였다.
전주교도소 측도 “교도소 이전 문제를 중기재정계획에 포함시켜 조속히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며 “부지선정 절차를 거쳐 내년부터 기본조사 설계를 시작, 오는 2019년까지 이전할 건물을 완공할 계획이다”고 밝혔다.이에 따라 전주시는 오는 7월 전북발전연구회와 용역 계약을 실시, 부지 선정 등을 조속히 마무리한다는 계획이다.
지난 1972년 신축된 전주교도소는 건물노후화와 최근 교도소 주변에 고층아파트가 잇따라 들어서면서 재소자들의 인권 문제, 위화감 조성 우려로 이전의 필요성이 제기돼 왔다. 이에 법무부 장관은 지난해 3월 교도소 이전 신축 후보지 선정을 지시했고, 그해 7월 전주시가 추천한 6곳의 후보지를 대상으로 현지 조사 등을 실시했다. 그 결과 상림동을 적합부지로 판단했지만 주민의 강한 반발로 전주시가 후보지를 철회하면서 이전 사업 진행이 터덕거리고 있다.
한편 이날 신건 의원은 “구치소와 교도소를 각각 분리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며 “문화도시인 전주에 맞게 구치소를 짓고 전주교도소는 자연과 교감할 수 있는 곳에 마련되는 것도 필요하다”고 주문했다. 이에 이 법무장관은 “구치소를 교도소와 분리해 법조타운 옆에 지을 경우, 재정과 인력 등의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고 유보적인 입장을 밝혔다.
이 장관은 지난 24일 전주교도소를 방문, 현황보고를 받은 자리에서 “전주시의 이전 방침에는 공감하고 있다”며 “방법에 있어서는 이견이 있을 수는 있겠지만, 부지만 선정되면 교도소 이전에는 문제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장관은 “전주교도소에 오면서 주민들이 내 건 플래카드를 보며 전주시민들이 교도소이전을 얼마나 원하고 있는지 느낄 수 있었다”며 “전주시 남부권과 전라북도의 발전에 부합되도록 법무부도 교도소 이전 계획에 적극 협조할 것이다”고 덧붙였다.
전주교도소 측도 “교도소 이전 문제를 중기재정계획에 포함시켜 조속히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며 “부지선정 절차를 거쳐 내년부터 기본조사 설계를 시작, 오는 2019년까지 이전할 건물을 완공할 계획이다”고 밝혔다.이에 따라 전주시는 오는 7월 전북발전연구회와 용역 계약을 실시, 부지 선정 등을 조속히 마무리한다는 계획이다.
지난 1972년 신축된 전주교도소는 건물노후화와 최근 교도소 주변에 고층아파트가 잇따라 들어서면서 재소자들의 인권 문제, 위화감 조성 우려로 이전의 필요성이 제기돼 왔다. 이에 법무부 장관은 지난해 3월 교도소 이전 신축 후보지 선정을 지시했고, 그해 7월 전주시가 추천한 6곳의 후보지를 대상으로 현지 조사 등을 실시했다. 그 결과 상림동을 적합부지로 판단했지만 주민의 강한 반발로 전주시가 후보지를 철회하면서 이전 사업 진행이 터덕거리고 있다.
한편 이날 신건 의원은 “구치소와 교도소를 각각 분리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며 “문화도시인 전주에 맞게 구치소를 짓고 전주교도소는 자연과 교감할 수 있는 곳에 마련되는 것도 필요하다”고 주문했다. 이에 이 법무장관은 “구치소를 교도소와 분리해 법조타운 옆에 지을 경우, 재정과 인력 등의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고 유보적인 입장을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