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교육청, 교과부 평가 3년 연속 하위권
도 단위 9곳 중 8위…시 단위 서울 '꼴찌
교과부가 실시하는 시·도교육청 평가에서 전북도교육청이 3년 연속 바닥권에 머물고 있어 교육의 질적 수준을 높이고 책무성을 확보할 특단의 대책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22일 교과부가 발표한 2011년 시·도교육청 평가에 따르면 전북교육청은 종합등급 '매우 미흡'으로 9개 도 단위 지역중 8번째를 기록했다.
2011년 시·도교육청 평가는 학업성취도 평가 기초학력미달 비율, 교육과정 선진화, 방과후학교 활성화 등 17개 지표를 기준으로 2010년 한해 동안의 성과를 평가한 것이다.
전북도교육청은 2009년 평가에서 9위를 받은데 이어 2010년과 2011년 2년 연속 8위로 바닥권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올해 전북교육청은 지표별 평가에서 매우 초라한 실적을 보였다. A, B 등급으로 평가한 교육연수 프로그램 질 제고에서는 A등급을 받았으나 나머지 16개 항목 중 '매우 우수'는 예체능 교과 수업시수 비율 1개 항목 뿐이고 '우수' 항목은 1개도 없다.
교원연수 참여율과 유·초등 돌봄지원, 사교육비 절감성과 3개 항목은 '매우 미흡'한 것으로 평가됐고 '미흡'은 8개, '보통'은 4개 항목이다. 전북에 이어 9위를 차지한 경기도의 경우에는 16항목중 6개 항목이 '매우 미흡'했지만 예체능교과 수업시수 비율 등 3개 항목은 '우수', 유·초등 돌봄지원은 '매우 우수' 등급을 받았다.
교과부는 "외부위원 13명, 내부위원 2명 등 15명으로 2개의 소위원회를 구성해 평가했다"며 "평가결과에 따라 특별교부금을 차등지원하며 차등 지원폭을 넓혀나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지난해의 경우 최고 109억원, 최소 39억원으로 평가결과에 따라 60억원을 차등 지원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도 단위 1·2위는 충남과 경북, 시 단위 1·2위는 대전과 인천이 차지했으며, 진보교육감 진영은 시 단위중 4위인 광주를 제외하고는 모두 하위권으로 평가됐다. 시 단위에서는 서울이 꼴찌이고 도 단위에서는 강원 7위, 전북 8위, 경기 9위로 집계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