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more
종합 정치·행정

강봉균 민주당 전북도당 사퇴선언 전문

임순남뉴스 기자 입력 2010.03.30 12:37 수정 2010.03.30 12:37

강봉균 민주당 전북도당위원장이 지방선거와 관련 중앙당의 일발적 경선방식 변경에 반발하며 30일 오전 도당위원장직을 전격 사퇴했다.

다음은 강 위원장의 사퇴 선언 전문.

저는 민주당 전북도당 위원장으로서 6.2 지방선거를 위한 공천심사위원장직을 맡아 투명하고 공정한 민주당후보 공천을 위하여 모든 노력을 기울여 왔다.

그러나 지난 3·28 정세균 대표를 중심으로 하는 중앙당 최고위원회가 전북도당의 결정사항을 일방적으로 뒤집는 결정을 내림으로서 전북도당 공심위원들의 명예를 손상시키고 전북 민주당 당원들의 화합을 해치는 결과를 초래한 일련의 사태에 도의적 책임을 지고 도당 위원장직에서 사퇴하기로 결심했다.

3·28 중앙당 최고위는 전북의 기초단체장 후보 경선방법을 국민여론조사 50%+당원 선거인단 투표 50%로 일괄적용하라는 결정을 내렸다. 이런 결정은 다음과 같은 이유로 부당하고 불합리하다고 생각한다.

첫째 중앙당은 시·도지사 공천 권한을 갖는 대신 시·도당은 시장, 군수 공천권한을 갖도록 한 민주당 당헌의 기본정신에 위배된다.

중앙당 최고위는 시·도당이 결정한 내용에 대해 포괄적인 인준권한을 행사해야지 지역의 특수성이 있는 개별적 사안을 당 대표의 주관적 판단에 따라 선별적으로 변경하려드는 것은 지나친 당권남용이라고 생각한다.

둘째 중앙당은 전북의 기초단체장 경선방식을 일반국민 50%의 경우 모두 전화여론조사로 통일시키라는 변경 결정을 내렸으나 그 합리적 근거가 희박한 무리한 강권조치라고 생각한다.

왜냐하면 국민참여경선의 경우 일반국민 50%와 당원 50%는 전화여론조사나 선거인단 투표 간에 선택할 수 있도록 한 것이 민주당 경선규칙의 기본취지이기 때문에 전북도당 공심위는 일반국민 50%는 선거인단 투표를 원칙으로 하되 지역별로 전화여론조사 방식도 채택할 수 있는 탄력성을 부여하도록 하였던 것이다.

다만 이 경우 지역위원회를 대표하는 공심위원들 간에 합의를 전제로 했다.

이런 원칙에 따라 김제·완주, 군산, 무·진·장, 남원․순창 등이 전화여론조사 방식을 요구해 이를 수용하였고 나머지 전주, 익산, 정읍, 고창․부안 지역은 변경요청이 없었기 때문에 선거인단 투표방식을 그대로 유지했던 것이다.

당초 중앙당 공심위에서는 전북 공심위가 일반인 선거인단 투표방식의 예외를 너무 많이 인정했다고 비판하다가 결국은 모든 지역을 예외로 인정하라는 모순된 결정을 내린 것이다.

셋째 중앙당 최고위의 결정은 매우 비민주적인 결정이라고 생각한다.

도당 공심위가 6차에 걸친 회의를 10여 일간 계속하면서 합의로 결정한 사안들에 대해 충분한 사전조사나 의견 청취 및 동의 절차도 없이 일방적으로 판단하고 변경하는 것은 지역 국회의원들과 공심위원들을 무시하는 부당한 처사라고 생각한다.

전북도당은 그동안 중앙당이 정해준 규칙과 일정계획에 따라 경선관리를 중앙선관위에 위탁하기 위한 시한을 맞추기 위해 최선을 다해 왔다.

모든 결정의 투명성과 공정성을 지키기 위하여 공심위 회의록을 중앙당에 제출하고 도당 상무위에서 공개토론 과정도 거쳤다.

본인이 도당위원장을 사퇴하더라도 이러한 민주당의 경선관리에 차질이 없도록 중앙당이 책임 있게 대처해 주기 바란다.

특히 기초단체장 경선방식 통일에 이의를 제기하는 지역의 경우 그 의견을 최대한 존중해 주기를 중앙당에 촉구한다.

저는 민주당 전북도당 대의원들이 직접 선출해 준 도당위원장직을 사퇴하면서 중앙당이 전북 민주당 당원동지들의 화합을 중시하고 이를 토대로 6.2 지방선거에서 압승하기를 바라며, 민주당이 당원들의 단합을 통하여 지방선거에서 압승하려면 당 운영방식이 철저히 달라져야 한다고 생각한다.

본인의 충고가 정세균 대표에게 쓴 약이 되기를 기원한다.


저작권자 임순남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