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 35사단 부지에 조성될 에코타운이 아파트 숲으로 덮일 전망이다. 에코타운이 아니라 고층의 시멘트 병풍으로 둘러싸인 또 다른 난개발이 우려된다는 말이다.
이것은 전주시가 지향하는 친환경 저탄소 신도시 개발계획에 역행할 뿐아니라 전통문화중심도시에도 걸맞지 않는 개발모형이다. 이러한 계획은 부대 이전을 둘러싼 오랜 진통과 친환경적인 북부권 개발을 열망하는 시민들의 기대를 저버린 것이다.
에코타운 개발업체인 태영건설이 전주시에 제시한 개발계획안에 따르면 전체 200만여㎡ 부지중 주택용지가 93만여㎡로 46.6%를 차지한다. 반면 공원과 녹지는 51만여㎡로 25.6%에 그치고 있다. 전주시가 지난해 에코타운 녹지비율을 47%까지 확대하겠다고 발표한 것에 비해 한참 못미치고 있다.
나아가 주택용지의 대부분이 공동주택, 즉 15-25층 까지의 아파트 단지 14개가 들어서 업체의 장삿속이라는 비난을 면키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특히 이들 아파트는 부지내 호수를 중심에 두고 초고층 아파트가 들어서 병풍숲을 연상시킨다.
또 기반시설을 제외한 나머지 지구의 인구밀도를 ㏊당 358명으로 잡았다. ㏊당 100명 이내를 저밀도로 분류하는 것에 비해 고밀도에 해당한다. 호수 주변 뿐아니라 부지안에서 아파트단지가 사업지구를 둘러싸 농업이 중심인 주변지역과 부조화 내지 단절양상을 띠는 것도 문제다.
더불어 도로나 자전거 전용도로 문화시설 부족 등 자연친화적 에코도시와는 한참 거리가 있다. 에코도시 인근 송천역 주변이 상업지구로 개발될 예정이어서 주거공간 옆에 유흥업소 등이 밀집돼 제2의 아중택지나 서부 신시가지같은 난개발도 예상된다.
따라서 이번 계획은 관계기관의 의견과 주민공청회 등을 거치겠지만 대폭적인 손질이 필요하다고 본다. 우선 공동주택 단지를 줄이고 배치도 부지를 둘러싼 형태여서는 안될 것이다. 주택단지의 경우 다양한 계층이 공존할 수 있도록 공동주택 뿐아니라 단독주택 전원주택 노인주택 전통주택 등을 복합적으로 배치해야 한다.
그리고 에코타운 본래의 뜻에 맞게 숲과 녹지를 충분히 확보하고 문화시설 체육시설 도서관 장애인시설 등 공공시설을 자전거나 도보로 접근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전주시는 수차에 걸쳐 이곳을 친환경 녹색도시로 만들겠다고 공언했다. 업체의 이익에 끌려 다닌다는 의혹을 받지 말고 당초 의지대로 개발해 주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