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more
종합 사회

에코타운 문제점과 개선방향

김성수 기자 입력 2009.08.10 17:41 수정 2009.08.10 05:41

공동주택 중심 고밀도개발…당초 구상과 거리

작성 : 2009-05-19 오후 9:31:48 / 수정 : 2009-05-19 오후 9:55:10
구대식(9press@jjan.kr)
전주시 35사단부지의 '에코타운(Eco-Town) 조성사업'은 말 그대로 자연친화적으로 개발하겠다는 의지가 담겨있다. 자연환경을 최대한 보존하거나, 환경피해를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개발사업을 진행하겠다는 것으로 풀이된다.

그러나 현 에코타운 개발계획은 공동주택을 중심으로 한 고밀도개발 위주여서 전주시의 당초 구상과는 거리가 있다는 지적이다.

◆ 공동주택과 기반시설 절반씩 배치

(주)에코타운은 최근 공동주택 개발 위주의 에코타운 개발계획안을 시에 제시했다. 이들은 전체부지 200만4030㎡ 중 절반 정도인 93만5065㎡(46.6%)는 주택건설용지, 나머지 절반인 99만3213㎡(49.6%)는 도시기반시설용지로 개발하는 계획안을 내놓았다. 나머지 3만9860㎡(2.0%)와 3만5892㎡(1.8%)는 각각 상업용지와 복합업무용지로 개발해나갈 계획이다.

주택건설용지는 공동주택용지가 82만463㎡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단독주택용지 9만2253㎡, 준주거시설용지 2만2349㎡ 등으로 짜여졌다. 공동주택은 모두 14개 단지가 각각 15층에서 25층까지 다양한 규모로 들어설 계획이다.

도시기반시설용지에서는 공원과 녹지가 51만2705㎡로 대부분을 차지한다. 나머지는 도로(34만8379㎡)와 광장(3532㎡), 교육시설(7만5705㎡), 주차장(1만2050㎡) 등이 들어선다. 여기에는 주민자치센터와 우체국, 경찰지구대가 각각 1개씩 들어선다. 유치원 2개와 초등학교 3개, 중학교 2개, 고등학교 1개 등 교육시설도 들어선다.

시 관계자는 "에코타운측이 친환경적 도시개발을 내세우며 이 같은 개발계획을 제시해 왔다"고 말했다.

◆ 친환경적 개발계획 수립돼야

에코타운이 개발계획안에서 제시한 공동주택비율은 다른 신도시개발사업과 비교할 때 과도한 것은 아니다. 공원·녹지분야를 전체 개발부지의 25.6%정도 확보한 것도 일반 신도시개발보다 넉넉한 규모다. 하지만 35사단부지 개발사업은 시가 수없이 친환경개발을 약속했던 구역이다. 실제로 시는 지난해 에코타운의 녹지비율을 47%까지 확대해나갈 계획임을 제시했다. 또 저탄소 녹색성장이란 시대흐름에 부합하기 위해 자연환경을 최대한 활용하고, 대체에너지 시설을 설치해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줄이는 개발방안도 제시했다.

하지만 이번에 제시된 개발계획안에서 기반시설을 제외한 나머지 지구의 인구밀도를 ha당 358명으로 잡았다. 일반적으로 ha당 100명 이내까지 저밀도로 분류된다. 특히 지구지정 안에서는 아파트단지가 사업지구를 병풍처럼 두르고 있다. 단독주택용지는 물론 준주거시설, 문화시설 등은 외곽으로 비켜서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때문에 도로나 자전거 전용도로, 문화시설 부족 등은 차치하고 자연친화적 에코도시에 크게 못미친다는 지적이 나왔다. 좀더 자연친화적인 개발계획이 돼야 한다는 것이 관계 전문가들의 공통된 시각이다.

원광대 이경찬 교수(도시공학과)는 "전주시가 개발목표를 너무 높게 세웠는지, 아니면 에코타운측이 이를 따라가지 못하는 것인지, 아쉽다"라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임순남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