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토지 공사 통합본사 논의가 통합공사 출범(10월 1일) 이후로 연기된 가운데 경남을 향한 동정론이 확산될 조짐이어서 전북도가 바짝 긴장하는 분위기다.
19일 경상남도와 전라북도, 국토해양부 등에 따르면 경남과 진주시는 정부 이전계획 승인 지연과 변경을 이유로 토·주공 통합 본사 유치의 당위성을 역설하고 있다. 실제로 전북은 혁신도시에 들어설 예정인 12개 기관 중 10개 기관의 승인 절차가 완료됐지만 경남의 경우 12개 중 7개 기관만 승인된 상태.
이마저도 진주로 이전 예정인 다수 기관들이 수도권 잔류를 희망하고 공기업 통폐합 등으로 이전 자체가 불투명해 지방균형발전의 취지를 무색케 하고 있다는 여론이다. 경남은 4차 이전계획 승인이 발표된 지난 달 8일 보도자료를 통해 “한국산업기술시험원의 시험동은 매각도 하지 않고 국민연금공단은 공단본부 매각을 제외해 언제든지 다시 서울로 돌아갈 수 있는 여지를 남겨 두었다. 특히 우려되는 것은 향후 진주로 이전할 5개 기관도 통폐합 문제, 타 기관으로의 이관, 일부 기능의 타도시 이전 등이 제기되고 있다는 점이다”고 밝혔다.
경남은 이와 함께 “혁신도시 공공기관 일부 잔류 승인을 재심의 하고 잔류 기도는 즉각 중단 할 것, 국가균형발전의 대의에 따른 혁신도시 건설의 취지를 존중해 4차 이전기관의 전체 조직 및 인원을 확실하게 이전 추진할 것”등을 국토부에 요구했다.
경남이 통합본사 유치와 관련한 전북의 제안을 사실상 거절하는 이유도 동정론을 의식한 국토부의 배려를 기대하고 있기 때문이라는 관측이다.
안상근 경남도 부지사는 최근 경남혁신도시 실무추진위원회의에서 “전북의 통합본사 유치를 위한 ‘2:8 논리’는 조직을 무 자르듯이 임의로 나누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며 기능 분석을 통해 객관적이고 합리적으로 본사가 선정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경남은 또한 진주 혁신도시로 공공기관 이전과 연관산업 유치를 위해 진입 도로 개설, 수계 정비 등 기반시설 공사에 국고를 확보해 혁신도시 부지 조성원가를 낮추는 방안을 경남도와 진주시, 시행사와 함께 적극 검토 중에 있다. 이밖에 공공기관 이전 임직원 및 가족의 이주를 유도하고 경남 혁신도시 입지여건 우수성 및 통합본사 유치를 위해 홍보물 책자 제작 등도 점검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에 대해 전북도 관계자는 “정부의 이전계획승인이 늦어지고 변경됐다는 이유로 경남에 통합본사를 이전하고 대규모 인력을 배치하는 선심성 특혜가 있어서는 안된다”며 “객관적인 기준으로 본사를 결정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