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more
종합 정치·행정

남원국립공공의료인력양성방식, 국립공공의료 대학원으로 가닥

임순남뉴스 기자 입력 2018.07.23 09:15 수정 2018.07.23 09:56

국립공공의료 대학원, 남은 과제는 남원의료원

전북도가 당면현안인 국립공공의료 인력을 양성하는 인프라구축과 관련해 지난 20일 한병도 청와대 정무수석 일행이 전북도 송하진 지사를 방문해 대화를 나눴다.

이날 전북도 송하진 지사는 이와같은 내용을 지자체와 부처별 입장을 정리해 청와대에 전달했다.

그동안 남원지역 국립공공의료 인력 양성방식이 국립공공의료 대학원으로 모인 가운데 관련기관은 ‘대학’과 ‘대학원’을 놓고 저울질해 왔다.

전북도와 남원시, 복지부 등은 ‘대학’을 채택했고, 예산을 쥔 기재부는 ‘대학원’을 고수하면서 견해차가 정리돼지 않았다.

하지만, 관련기관이 오는 2022년 이전 개교라는 현실성을 택하면서 대학원방식으로 이견이 모아졌다.

남원시와 복지부 등 관련기관은 대학원방식을 택한 것으로 전달했다. 대학은 관련법률에 따라 최소 정원이 1천명 이상이 필요하다는 등 현실적으로 답이 없다는 의견들이다.

대학원 입지부지에 대해서도 상당 부분 이견이 모아졌다. 관련기관은 남원의료원 인접부지로 의견을 모은 것으로 파악된다. 남원의료원을 활용하려면 어쩔 수 없다는 선택이다.

아쉽지만, 서남대부지는 재단의 청산절차를 지켜보면서 또 다른 활용방안을 찾겠다는 의견이다.

전북도는 남은 과제로 남원의료원 활용방안을 꺼내 들었다. 남원의료원 활용방식에 대해서는 지자체와 정부 부처별로 의견이 모이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복지부와 전북도, 남원시 등은 남원의료원을 국립중앙의료원 분원으로, 기재부는 이를 반대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이날 전북도는 한 정무수석 등 청와대에 기재부의 입장변화를 이끌어달라고 요청했다.

이와 함께 남원의료원이 분원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병상확충 등 국가 예산반영을 촉구했다. 공공의료 인력양성과 남원시를 중심으로 한 지리산 권역의 의료 사각 해소를 위해서 국가예산 확보를 요청한 것이다.


저작권자 임순남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