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13지방선거 기초단체장, 지방의원 대진표가 확정된 가운데 8~9일 실시되는 사전 투표가 승패를 가를 것으로 내다 보인다.
각 후보 캠프 진영마다 공직선거법에 저촉되지 않고 사전 투표율을 높이기 위해 조직적 움직임도 감지되고 있다.
사전 투표제는 선거 당일 투표가 어려운 유권자들을 위해 투표 참여 독려 차원에서 도입된 제도로 전국 읍면동사무소에서 신분증만 있으면 가능하다는 점이 가장 큰 특징이다.
과거에는 자신이 거주하는 선거구에서 투표하거나 사전 신고 절차를 거쳐 부재자 투표를 해야 했지만 이 같은 불편함이 말끔하게 해소된 것이다.
예를 들어 선거 당일 외부 출장이나 해외에 나갈 일정이 잡힌 경우 사전 투표일인 8일~9일에 하면 된다.
사전 투표는 최근 정치 불신감 확산에 따른 유권자들의 투표 참여 제고를 위한 대안으로 주목 받고 있다.
이번 6·13 지방선거에서도 상당한 변수로 작용할 것이라는 관측이 많다.
특히 임순남지역의 경우 더불어민주당과 민주평화당, 무소속 후보들간 접전이 예상되는 격전지의 경우 사전 투표율에 따라 선거 결과에 적지 않은 영향이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실제 전북 14개 기초단체장 선거에서 현재 오차범위 접전을 펼치고 있는 지역은 사전투표를 앞두고 각 후보 진영이 지지층 결집을 호소하는 등 총 동원령을 내렸다.
특히 역대 선거에서 전북의 사전투표율은 타지역을 크게 앞서왔고 격전지로 꼽히는 남원시 유권자는 7만여명, 임실·순창군수 선거 유권자는 2만6천여명으로 초박빙 경합을 벌여 이들 지역의 사전투표율이 사상 최고치를 기록할 것으로 보인다.
전북지역 사전 투표소는 241개로 투표소 운영 시간은 오전 6시~오후 6시까지다. 사전투표는 과거 부재자투표와는 달리 별도 신고 절차는 필요하지 않다.
지방선거에서 사전투표제가 도입된 것은 지난 2014년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로, 당시 전북지역 사전투표율은 16.07%로 전남에 이어 가장 높은 투표율을 기록했다.
그러나 지난해 제19대 대통령선거에서 전북지역 전체 투표율은 75.6%였으며 사전투표에는 48만2694명 참여해 31.6%의 높은 투표율을 보였다.
민주당과 국민의당이 치열한 경쟁을 했던 지난 20대 총선의 전북지역 사전투표율은 17.32%로 제6회 지방선거 사전투표율을 앞섰다.
특히 총선 당시 전북의 사전투표율은 전국 평균(12.2%) 보다 무려 5.12%p 높은 것으로 전남(18.85%)에 이어 전국 17개 시·도중 두 번째 였다.
각 후보간 경쟁이 치열할수록 각 캠프의 조직력을 동원한 사전 투표율이 높아질 수 밖에 없다는 것이 정치권의 설명이다.
이번 지선에서 격전지로 꼽히고 있는 임실군의 지난 20대 총선 당시 사전투표율은 21.45%였다.
이같은 이유로 각 후보 캠프에서는 사전 투표에 대한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으며 지지자들을 대상으로 적극적인 사전 투표 참여를 독려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특히 무소속 후보와의 초접전이 벌어질 가능성이 있는 지역 기초·광역의원 선거의 경우 사전 투표 결과가 당락에 결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실제 보통 선거일을 휴일로 인식하는 20대 젊은층들의 사전 투표 참여도에 따라서 후보자별 득표율에 희비가 엇갈릴 수 있다는 시각도 적지 않다.
지역 정치권에서는 사전 투표제의 도입이 투표율 제고라는 순기능적 측면을 고려한 것이지만 자칫 유권자 실어 나르기와 같은 구태 선거의 병폐를 불러올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